지금 사용하고 계신 브라우저는 오래되었습니다.
알려진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며, 새로운 웹사이트가 깨져 보일 수도 있습니다.
최신 브라우저로 업데이트 하세요!
오늘 하루 이 창을 열지 않음
감람ON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우리 교회의 좋은 전통 중 하나는 봉헌기도 때 부르는 찬송이라고 생각합니다. “만 가지 은혜를 받았으니 내 평생 슬프나 즐거우나 이 몸을 온전히 주님께 바쳐서 주님만 위하여 늘 살겠네. 아멘!”(216장 마지막 절) 저는 가끔 앞에다 ‘억(億)’자를 넣어서 불러봅니다. “억만가지 은혜를 받았으니…” 제가 누려왔고 누리고 있는 은혜가 만 가지가 훨씬 넘을 것 같아서입니다.

추수감사절을 보내면서 최근에 제가 깨달은 다소 당혹스러운 감사의 제목들을 나누어 보고 싶었습니다. 먼저, ‘고아권익연대’를 조직하여 고아 출신들을 돕는 활동을 하고 계시는 조윤환 대표께서 방송사 인터뷰에서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바가 무엇이냐?’는 앵커의 질문에 ‘버리지 않으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대답하는 말을 듣고 그야말로 충격이 되었습니다. 버리지 않으면 되는 것 아닌가! 부모에게서 버림받은 아픔을 품고 살아온 분의 고백이어서 결코 가볍게 들리지 않았습니다. 우리 어머니 생각이 났습니다. 우리 어머니가 만약 우리 형제를 버리고 떠나셨더라면 비난은 들었겠지만, “오죽했으면 그랬겠는가?”라고 동정받을 만한 형편이었습니다. 개인사이긴 합니다만, 제가 다섯 살이고 동생의 돌날 아버지께서 중병으로 돌아가셨고, 어머니는 시부모님을 모신 채 저희 5남매를 키우셔야 했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를 버리지 않으시고 키워주신 어머니의 그 사랑을 몇만 가지 은혜라 고 계산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또 한 가지 충격적인 경험은, 얼마 전 중학교 동창의 모친상 부고가 와서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그런데, 50년 만에 처음 들은 얘기가 있습니다.

그 친구 집은 다소 여유가 있어서 그 어머니께서 학부모 육성회 간부를 하셨는데, 담임 선생님께서 저의 형편이 어려우니 좀 챙겨주시면 좋겠다고 말씀하셨다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그런 배경이 있는 것도 모르고 그 친구와 친해졌고, 시도 때도 없이 그 집에 숙식하고 민폐를 끼치며 중학 시절을 보냈습니다. 그저 좋은 분들이고 제가 공부를 조금 잘하니까 같이 있는 걸 좋아하시는 줄로만 알았습니다. 저는 많은 분의 도움과 사랑을 받으며 자라왔다고는 생각했지만,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이전부터 하나님께서 나를 돌보시기 위해 도처에 은혜의 그물(?)을 쳐두고 계셨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었습니다. 아직도 제가 알지 못하거나 기억해 내지 못하고 있는 은혜들이 얼마나 많을지 모르겠습니다. “내가 날 때부터 주께 맡긴 바 되었고 모태에서 나올 때부 터 주는 나의 하나님이 되셨나이다”(시편 22:10)라고한 다윗의 고백에 저도 “아멘!” 하게 됩니다.

제가 하나님 앞으로 나아온 것은 대학 4학년 때였는데, 구원의 확신을 주신 말씀은 에스겔 16장이었습니다. 저의 모습은 너무나 부끄럽지만, 제가 태어날 때부터 저를 돌보고 입히고 먹이고 온갖 좋은 것들로 채우시며 키워주신 하나님의 은혜만은 결코 부인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가 교회에서 누리는 기쁨은 또 얼마나 큰지요! 서로 반가워하며 즐거워하고, 여러 섬김을 받으며 교제하고 또 서로를 세워가고…. 이루 말할 수 없는 은혜를 누리고 있습니다. 주일 예배 때 현대인들이 잃어버린 것이 바로 ‘감사(感謝)’라고 하신 목사님 말씀이 기억납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계절에, 우리 생각에 떠오르는 것들보다 훨씬 더 많은 은혜를, 우리가 기억하는 것보다 훨씬 이전부터 누려왔음을 각자 확인해 보셨으면 합니다. 


Atachment
첨부파일 '1'

List of Articles
번호 구분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담임목사 신년 인터뷰 [감람원 395호] 50년의 감사, 희년의 소망을 경험하라! - 자유, 회복, 새로운 시작 file 남서울 2025.01.19
311 꿈꾸는 청년 [감람원 395호] 믿음으로 하나되는 청년1부 file 남서울 2025.01.16
310 세빛섬 청년 [감람원 395호] 순종하는 소망의 해 file 남서울 2025.01.16
309 미디어사역부 사진 콘테스트 [감람원 395호] 남서울 이야기 file 남서울 2025.01.14
308 찬송가 해설 [감람원 395호] 시온성과 같은 교회 file 남서울 2025.01.14
307 목회자 칼럼 [감람원 394호] 기억하며 함께 기도하겠습니다 file 남서울 2024.12.10
306 지상설교 [감람원 394호] 이스라엘의 위로를 기다리는 시므온 file 남서울 2024.12.10
» 2024년을 보내며 [감람원 394호] 감사 단상(感謝 斷想) file 남서울 2024.12.10
304 직분을 내려 놓으며 [감람원 394호] 귀한 은혜의 여정 file 남서울 2024.12.10
303 새가족 인터뷰 [감람원 394호] 눈물과 기쁨의 씨앗 file 남서울 2024.12.08
302 남서울복지재단 [감람원 394호] 더불어 실천하는 나눔과 섬김 file 남서울 2024.12.08
301 부서 소개 [감람원 394호] 구석 구석 빛나게 file 남서울 2024.12.08
300 해외선교위원회 / 로잔대회 [감람원 394호] 온전한 복음을 온 세상에 file 남서울 2024.12.08
299 남서울 NOW [감람원 394호] 남서울 NOW file 남서울 2024.12.08
298 꿈구는 청년 [감람원 394호] 열두 마을목자의 편지 file 남서울 2024.12.08
297 세빛섬 청년 [감람원 394호] 새내기들의 한 해는 어땠나요? file 남서울 2024.12.04
296 브라보 시니어 [감람원 394호] 예배당 앞 전도폭발 느티나무 file 남서울 2024.12.04
295 독자 간증 [감람원 394호] 은퇴 후 신앙생활 file 남서울 2024.12.04
294 내 인상의 성경구절 [감람원 394호] 그리스도인 file 남서울 2024.12.04
293 독자 간증 [감람원 394호] 주님을 온전히 의지하는 file 남서울 2024.12.04
292 승영장학회 소개 [감람원 394호] 하나씩 이루어지는 소원 file 남서울 2024.12.0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 1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