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디모데전서 1:18~20
사람에게는 양심이 있습니다. 양심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행위에 대하여 옳고 그름, 선과 악을 구별하는 도덕적 의식이나 마음씨’입니다. 양심은 선과 악을 구별하여 악을 거부하고 선을 행하게 해줍니다. 하지만 인간의 양심은 선과 악을 제대로 구별할 수 없습니다. 선악과를 먹은 후, 인간은 자신에게 유리한 것은 선, 해로운 것은 악으로 판단하며, 모든 것을 자기중심적으로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누구도 자기 양심으로 선과 악을 구별하여 선을 행할 수 없게 되었고, 양심이 의가 되어 구원받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성도가 믿음만 가지면 될 것 같은데, 19절을 보면 믿음뿐만 아니라 착한 양심도 가지라고 합니다. 그리고 양심이면 양심이지, 착한 양심은 무엇일까요? 착한 양심이 있다면 악한 양심도 있다는 것일까요? “믿음과 착한 양심을 가지라”는 말씀은 믿음만으로는 구원을 얻을 수 없으며 착한 양심도 필요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믿음에 의한 양심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즉 믿음으로 가능한 양심을 착한 양심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따라서 착한 양심은 믿음이 없는 사람에게는 가능하지 않은 양심입니다. 다시 말해서 신자와 신자가 아닌 사람의 양심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하도에서 구걸하는 사람을 그냥 지나쳤을 때 마음이 찔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믿음에 의한 양심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믿음을 제대로 정의하고 있지 않습니다. 선한 행위를 하는 것이 믿음이 아닙니다. 주님을 믿는 믿음은 자신의 행함을 보지 않고 예수님의 십자가 은혜만을 믿는 것입니다. 내가 무엇을 하지 못했구나 자책하는 건 믿음이 아닙니다. 이런 종류의 양심의 가책은 자신이 생각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것 때문이지, 신자의 양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믿음이 있는 신자는 오히려 자신의 행위에 의존하려는 모습을 발견할 때 찔림을 느낍니다. 이는 곧 십자가의 은혜를 외면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착한 양심을 버렸다는 것은 자기 공로와 행함을 높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덕과 윤리의 차원에서 선을 행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믿음은 예수님의 십자가 공로만 높이고 자랑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자기 행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은 양심을 버린 것이고 믿음이 파선된 것입니다. 얼마나 자주 우리는 은혜를 망각하고 자기중심의 신앙 기준으로 예수를 찾으며, 그것을 믿음으로 착각합니까?
마태복음 5장 20절은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의가 서기관과 바리새인보다 더 낫지 못하면 결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고 말합니다. 서기관과 바리새인의 의는 율법을 행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최선을 다해 율법을 지켰고 그들의 삶의 모습은 유대 사회에서는 의롭게 보였습니다. 서기관과 바리새인보다 더 낫지 못하면 천국에 들어갈 수 없다는 말씀은 율법을 행하는 것으로는 천국에 갈 수 없다는 뜻입니다. 즉, 서기관과 바리새인보다 더 높은 수준의 율법 실천과 행함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다른 의를 말하는 것입니다. 다른 의가 바로 예수님입니다.
예수님의 의를 믿는 것이 믿음이며, 이 믿음에 의해 자신이 죄인됨을 고백하게 되는 것이 착한 양심입니다. 착한 양심이 바르게 작동될 때, 신자는 자신을 높이길 원하고 자기 이름을 위해 살고 싶어하는 모습을 보며 애통해하며, 예수님을 더 간절히 의지하게 됩니다.
신자의 양심은 길에서 돈을 주웠을 때 주인에게 돌려주고, 장사하는 사람은 물건과 저울을 속이지 않고,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수준에 있지 않습니다. 그러한 수준은 믿음이 없는 사람들에게서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말씀이 말하는 착한 양심은 믿음이 없이도 가능한 양심이 아닙니다. 그래서 신자는 오직 믿음으로만 가능한 착한 양심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착한 양심이 무엇인지 바르게 이해해야 합니다.
로마서 기자는 2:14~15 에서 “율법 없는 이방인이 본성으로 율법의 일을 행할 때에는 이 사람은 율법이 없어도 자기가 자기에게 율법이 되나니 이런 이들은 그 양심이 증거가 되어 그 생각들이 서로 혹은 고발하며 혹은 변명하여 그 마음에 새긴 율법의 행위를 나타내느니라”고 말씀합니다. 이 말씀은 율법 없는 이방인들은 자기 양심을 근거로 자기 의를 내세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율법 없는 이방인에게도 본성이 있는데, 그 본성이 하는 일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의 의를 보게 한다는 것입니다. 율법 있는 유대인이 율법으로 자신의 의를 바라보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인간이 양심대로 살았다 해도 그것은 자기를 위한 것이고 자기 의일 뿐이지, 믿음과는 상관이 없으며 죄에서 벗어나는 데는 전혀 효과가 없는 것입니다.
신자의 착한 양심은 십자가에 피 흘려 죽으신 예수님을 항상 바라보게 합니다. 그리고 매일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고 있는 자신을 보게 합니다. 그러므로 착한 양심으로는 자신의 의를 자랑하고 드러내지 못합니다. 그것이야말로 신자의 양심에 어긋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착한 양심에 따라 살고 싶습니까? 그렇다면 자신이 죽은 자임을 알고 나 같은 자를 살리기 위해 찾아오시고 십자가에 죽으신 예수님의 은혜를 존귀하게 여기고 높이고 자랑하는 길로만 살아가십시오. 믿음과 착한 양심은 절대로 자신을 높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이 신자의 마음에 찔림이 되어 애통하고 회개하게 됩니다.
내가 정한 종교 행위를 만족하게 하는 양심, 윤리적, 도덕적 선을 행하는 정도의 양심을 신앙으로 착각하지 마십시오. 그리스도를 높이고 자기를 부정하는 착한 양심이 있는 믿음의 삶이 되기를 바랍니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