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사용하고 계신 브라우저는 오래되었습니다.
알려진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며, 새로운 웹사이트가 깨져 보일 수도 있습니다.
최신 브라우저로 업데이트 하세요!
오늘 하루 이 창을 열지 않음
감람ON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세상이 묻고 청년이 답하다’는 오늘을 살아가는 청년들이 신앙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교회의 사명과 개인의 믿음을 고민하는 좌담 형식의 코너입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앨런 크라이더의 저서 ‘초기 교회와 인내의 발효’ 중 1부와 2부(총 4부)를 함께 읽고, ‘인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진솔한 대화를 나눴습니다.


참석자
- 김철우 집사 (이하 ‘사회자’)
- 나원준 기자 (이하 ‘나’)
- 이시우 기자 (이하 ‘이’)
- 이유진 기자 (이하 ‘유’)



초기 교회의 비전은 인내에서 시작된다

이번 간담회의 문을 연 사회자는, 책의 핵심을 ‘속도와 결과 중심인 오늘날의 문화와는 전혀 다른 삶의 방식’이라 설명하며 초기 교회가 지녔던 인내의 정신을 강조했다. 초기 교회는 전도 전략이나 성장 목표가 없었지만, 그리스도인들의 삶 자체가 ‘매력적인 복음’이 되었고, 그 모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교회로 들어왔다. ‘인내의 발효’라는 표현은 그런 변화를 가능케 한 신앙의 본질을 드러낸다.
책은 인내를 단순한 참음이 아닌, ‘하나님의 타이밍을 신뢰하는 태도’로 정의한다. 그 안에는 세상과 구별되되 세상을 대적하지 않는 공동체의 모습, 그리고 약자를 돌보고 원수에게 복수하지 않는 그리스도인의 삶이 담겨 있다. 사회자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참석자들에게 “우리는 왜 조급한가?”, “인내는 오늘날에도 능력인가?”, “교회공동체는 세상과 어떤 점에서 다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좌담을 시작했다.  








‘인내’라는 익숙한 단어, 다시 꺼내다

사회자: 이 책을 통해 초기 교회가 세상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변화시켰다는 사실을 새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전도 전략 없이도 인내와 삶의 태도만으로 사람들을 끌어들였던 교회. 오늘날의 우리는 그 모습을 얼마나 따르고 있을까요?

: 저는 제목부터 마음에 걸렸어요. ‘초기 교회’, ‘인내’라는 단어가 제 삶과 너무 동떨어져 있는 것 같았거든요. 그래도 읽다 보니, 지금 내 삶 속 조급함과 맞닿는 지점이 있다는 걸 조금씩 느꼈습니다. 제 조급함은 대부분 미래에 대한 불안에서 옵니다. 취업, 관계, 진로 같은 게 너무 불확실하니까요.

: 저도 비슷해요. 지금 20대가 느끼는 조급함은 구체적인 문제에서 시작돼요. 대학 입시, 스펙 쌓기, 취업 준비... 계속 뭔가를 해내야 하는 시기잖아요. 그런데 이 책에서 말하는 ‘인내’는 박해 속에서 신앙을 지키는 이야기라, 지금 내가 느끼는 조급함과 어떻게 연결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요.



참는 것도 능력일까?

사회자: 책에서는 ‘인내가 공동체의 문화였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현실에서 인내는 오히려 ‘호구’라는 말로 치환되기도 하죠. 여러분은 인내를 능력이라고 느낀 적이 있나요?

: 예전에는 그렇게 믿었어요. 어릴 때는 바르게 살면 누군가는 알아주리라 생각했고, 그렇게 사는 게 멋있다고 여겼죠. 그런데 사회생활을 하면서 그런 확신이 조금씩 흔들렸어요. 실제로 그렇게 산다고 해서 결과가 따라오지 않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 저도 원칙대로 살고 싶었지만, 사회는 늘 실용과 성과를 중시하잖아요. 인내한다고 해서 환영받는 게 아니라, 오히려 미련하게 보일 때도 있어요. 누군가는 '그냥 그렇게 참는 건 병이지'라고 말하니까, 인내하는 삶이 옳은 건지 헷갈릴 때가 많아요.

: 그런 면에서 인내는 참 복잡한 덕목 같아요. 내가 참는 것이 옳은 줄은 아는데, 그것이 곧 ‘손해’로 돌아오는 순간엔 다시 흔들리게 되더라고요.



얼마나 포기해야 하나님이 기뻐하실까요?

사회자: 책에서도 그렇고, 삶 속에서도 결국 신앙은 ‘무엇을 내려놓느냐’와 연결되는 것 같아요. 그런데 ‘내려놓음’의 기준은 모호하잖아요. 여러분은 어디까지 포기할 수 있다고 생각하세요?

: 얼마 전에 수련회에서 친구랑 밤새 이 얘기를 했어요. 그 친구는 자기가 가진 것을 모두 포기하고 신학의 길로 가겠다고 했고, 실제로 그렇게 살고 있더라고요. 저는 그게 너무 멋있기도 했지만, 동시에 과연 그게 하나님이 원하시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들었어요.

: 남들과 비교하면서 생기는 혼란도 커요. 교회 공동체 안에 있다 보면, 더 많이 헌신하고, 더 믿음 있어 보이는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게 되잖아요. ‘왜 나는 저만큼 못하지?’ ‘저 사람은 저렇게 내어드리는데 나는 왜 이만큼밖에 못하나?’ 하면서 자책하게 되기도 해요.

: 그런데 그런 비교가 꼭 옳지는 않은 것 같아요. 사람마다 하나님과의 관계는 다르고, 속도도 다르잖아요. 나에게 지금 주어진 자리에서 할 수 있는 만큼 내어드리는 것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물론 말처럼 쉽지는 않지만요.



전도, 삶으로 보여주는 게 가능할까?

사회자: 책은 말합니다. ‘초기 교회는 인내와 선한 행실로 이방인을 변화시켰다.’ 여러분도 삶으로 복음을 전하고자 애쓴 적이 있었나요?

: 저는 제 가족과 여자친구가 교회를 다니게 되길 바라며 그런 삶을 살고 싶었어요. 일요일에 데이트보다 예배를 선택하고, 수련회도 가고. 나름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했는데, 정작 변화는 없더라고요. 여자친구는 ‘교회 가는 건 괜찮지만, 나한테 교회 얘기는 꺼내지 말아 달라’고 하더라고요. 그 말에 진짜 낙심됐어요.

: 믿지 않는 사람에게 복음을 삶으로 전하는 건 생각보다 많은 인내가 필요한 것 같아요. 변화가 보이지 않아 조급한 적도 있었어요. 책은 그리스도인의 성품, 태도, 행동이 가장 믿을 만한 전도의 수단이라고 말하는데요. 억지로 끌기보다, 신실하게 살아가는 삶 자체가 복음이 될 수 있고, 한 사람이 변화되기까지 포기하지 않는 인내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공동체는 여전히 구별된 공간일까?

사회자: 교회 공동체는 세상과 다른 문화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고 책은 말합니다. 여러분은 교회 안에서 그런 구별됨을 느끼고 있나요?

이: 저는 회사 생활을 하면서 교회와 세상의 차이를 많이 느꼈어요. 회사에서는 갈등이 생기면 쉽게 선을 긋거나, 그냥 안 보면 그만이라는 분위기예요. 하지만 교회 안에서는 ‘우리는 사랑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있잖아요. 그래서 끝까지 함께하려고 애쓰게 되는 것 같아요.

나: 제 동생이 재수 중인데요. 교회 가면 ‘자기 이야기를 제일 먼저 들어준다’고 하더라고요. 재수생이라는 이유로 사회에서는 소외되기 쉬운데, 교회에서는 오히려 ‘잘 왔다’, ‘수고 많다’며 환대해 주니까 그런 따뜻함을 느끼는 거죠.

유: 공동체 안에서도 다툼이나 오해는 생기지만, 그걸 넘어설 수 있도록 ‘한 몸 된 가족’이라는 인식이 있다는 게 차이인 것 같아요. 물론 그 이상을 기대했다가 실망한 적도 있지만, 그럼에도 다시 회복되는 힘이 있는 곳이 교회라는 생각은 들어요.



인내, 다시 꺼내든 신앙의 언어

사회자: 오늘 이야기를 통해 인내라는 단어가 단순히 ‘참는다’는 뜻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기다리는 태도라는 걸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교회가 보여준 인내가 공동체의 문화로 자리 잡았던 것처럼, 우리 역시 작은 실천들을 통해 삶으로 신앙을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요?

: 거창한 결단보다, 작은 선택들이 쌓여 인내가 되는 것 같아요. 말 한마디 참는 것, 억울해도 웃으며 넘기는 것, 다 그런 게 아닐까요.

: 남과 비교하지 않고, 나에게 주어진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 그게 우리 시대 청년들에게 필요한 인내의 모습이 아닐까 싶어요.

: 저도 아직 기다리는 중이에요. 가족, 여자친구, 그리고 제 삶 속에서 하나님이 하실 일들을요. 책을 읽고, 오늘 이 시간을 통해 그 기다림이 헛되지 않을 거란 확신을 조금은 되찾은 것 같습니다. 


Atachment
첨부파일 '1'

List of Articles
번호 구분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담임목사 신년 인터뷰 [감람원 395호] 50년의 감사, 희년의 소망을 경험하라! - 자유, 회복, 새로운 시작 file 남서울 2025.01.19
371 남서울칼럼 [감람원 398호] Growing Young - 다음세대는 말이 아니라 삶으로 자란다 file 남서울 2025.05.18
370 지상 설교 [감람원 398호] 희년 공동체의 조건 – 자유와 종 노릇 file 남서울 2025.05.18
369 감람원 아카이브 [감람원 398호] 가장 아름다운 선물, 가족 file 남서울 2025.05.18
368 푸른 감람원 [감람원 398호] 폭싹 속았수다! file 남서울 2025.05.14
367 꿈꾸는 청년 [감람원 398호] <결혼을 말하다> 북토크 file 남서울 2025.05.13
366 세빛섬 청년 [감람원 398호] 말씀과 일상이 만나는 시간, 지역모임 file 남서울 2025.05.13
365 새벽기도회 참관기 [감람원 398호] 자녀와 함께한 새벽, 믿음이 자라는 시간 - 자녀들이 이 시간을 기다립니다 file 남서울 2025.05.13
364 월간 신앙훈련학교 [감람원 398호] 피스메이커학교를 가다 – 피스메이커학교는 어떤 곳인가요? file 남서울 2025.05.13
363 부서 소개 [감람원 398호] 예배로 하나되는 글로벌 복음공동체 - 남서울교회 영어예배부 file 남서울 2025.05.13
362 남서울 NOW [감람원 398호] 남서울 NOW file 남서울 2025.05.13
361 새가족 인터뷰 [감람원 398호] 나를 돌아보는 새로운 시간 - 새가족 고경 성도 file 남서울 2025.05.13
360 새가족 환영회 [감람원 398호] 4월 새가족환영회 file 남서울 2025.05.13
» 세상이 묻고 청년이 답하다① [감람원 398호] 인내는 여전히 능력일까? file 남서울 2025.05.09
358 독자 투고 [감람원 398호] 새 생명을 찾는 도구 – 복음 전도 file 남서울 2025.05.09
357 남서울 복지재단 [감람원 398호] 남서울복지재단을 지켜온 사람들 - 20주년 기념 장기근속자 소감 file 남서울 2025.05.09
356 성서유물전 [감람원 398호] 구약 성경은 정확하게 필사되었는가 file 남서울 2025.05.09
355 문화칼럼 [감람원 398호] 하나님의 공의(公義) file 남서울 2025.05.09
354 찬송가 해설 [감람원 398호]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위로를 - 찬송가 338장 file 남서울 2025.05.09
353 남서울칼럼 [감람원 397호] 풍성한 은혜를 경험하는 청빙 과정이 되길 file 남서울 2025.04.11
352 지상 설교 [감람원 397호] 믿음과 착한 양심 file 남서울 2025.04.11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 1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